Post

2025 네이버 신입 공채 최종 합격 후기: Tech 백엔드 (KOR)

2025 팀네이버 신입 공채 최종 합격까지 학습한 자료 모음

2025 네이버 신입 공채 최종 합격 후기: Tech 백엔드 (KOR)

1. 개인적 생각

취업을 준비하고 네이버 신입 공채에 붙기까지 제 생각입니다. 틀릴 수도 있습니다.

개발 실무에서 원하는 것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수업 내용과 매우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실무 경험, 즉 바로 회사 개발 인력으로 투입될 수 있는 역량이나 잠재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교 수업을 열심히 듣고 학점만 높다고 해서 개발 업무를 바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개발 역량(문제해결 능력과 개발 지식)을 충분히 갖추려면 배워야 하는 과정이 따로 있습니다.

개발자 상향 평준화가 되어서 전공자라고 해도 회원가입이 있는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어 화면에 띄워보고, DB 연결을 해서 배포하는 그런 팀 프로젝트만으로는 역량이 턱도 없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애초에 이런 것은 Vibe Coding으로 몇 분 안에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 이상의 깊은 지식과 경험을 얻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했습니다. 저 또한 개발자의 길을 걷기로 선택했고, 네이버 신입 공채에 합격하면서 개발자의 길에 본격적으로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무엇을 해야 경쟁력이 있어 생존할 수 있는지 계속 고민하고 있습니다.

대학교 수업에서 벗어나 제가 준비했던 방법과 학습 자료를 기록하고자 합니다.

보안 서약서 때문에 면접 질문 내용이나 면접관 정보에 대해서는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2. 스펙

  • 전산학부 4학년 2학기 (3.44/4.3)
  • 백엔드 개발자 인턴 6개월
  • 스택: TypeScript, Express.js, React, Flutter

3. 서류전형

3.1. 자소서 및 포트폴리오

자소서를 준비하는 것은 면접을 준비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 좋은 자소서는 면접 때 말할 필살기가 잘 녹아져 있습니다.

하지만 필살기라도 말할 기회가 있어야지 어필이 가능합니다. 면접관은 수많은 지원자의 자소서를 보기 때문에 기억이 잘 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3초 안에, 한눈에 내용이 파악될 수 있게 문단을 나누고 문단마다 결과 중심으로 두괄식으로 자소서에 적었습니다. 네이버 서류전형 4번 항목 네이버 서류전형 4번 항목

네이버 서류전형 4번 항목은 면접자의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과 역할을 물어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항목은 면접자의 프로젝트 그 자체가 궁금한 것이 아니라 면접자의 능력(장점)을 파악하고 싶기에 넣어놓은 항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알고리즘 강점은 저의 문제해결 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백엔드 개발자 근무 경험은 현업 적응력을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앱 개발 경험으로 배포·운영 경험과 소통 능력을 드러내려고 했습니다.

3.2. 자소서 작성 참고 자료

아래 서적들은 직무에 상관없이 모든 자소서에 적용될 수 있는 내용입니다. 핵심은 본인의 문제해결능력을 수치로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성공 경험 (입사해서 회사에 도움을 줄 수 있는)이 자소서에 녹아있으면 좋은 자소서입니다. 엔지니어로서 매출 수치를 증가시키거나, 비용을 절감하거나, DAU를 늘린 경험이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쌩신입에게는 적기 어려운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운이 좋게도 저는 인턴 경험을 통해 성공 경험을 자소서에 적을 수 있었습니다.

4. CS/코딩테스트

4.1. 알고리즘 자료

알고리즘 공부를 접은 지 7년이 되었지만, 코딩 테스트에는 자신이 있었습니다. 감을 살리기 위해 Blind 75 문제를 풀어봤고, 점차 감을 잡았습니다. 프로그래머스에 Lv.4 문제를 전체 중에 3개 남기고 다 풀었고,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실력을 조금 회복했습니다. 7년 전이지만 알고리즘 푸는 것에 익숙한 정올러였기 때문에, 코딩테스트 관련해서는 저 자신이 상위권이라고 생각합니다.

4.2. CS 지식 자료

CS 기초 공부도 병행했습니다. 면접 준비 기간 동안 스터디는 일절 안 했고, 대전이라 할 수도 없었습니다. 모든 것을 혼자서 유튜브와 책을 보면서 준비했습니다.

5. 기술 역량 인터뷰

5.1. 면접 질문 준비 방식

프로젝트 별로 밑에 무슨 표를 채울 수 있다면 면접 질문을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질문프로젝트1
가장 도전적이었던 것 
실수 혹은 실패담 
즐거웠던 것 
리더십 
팀원과의 갈등 
남들과 다르게 행동했던 것 
기억에 남는 어려움 극복 방법 

『코딩 인터뷰 완전 분석 - 189가지 프로그래밍 문제와 해법』 50쪽 참고

5.2. 유튜브 구독 목록

유튜브는 다른 개발자들로부터 개발 지식을 습득하기에 너무 좋은 환경입니다. 네이버 공채 준비하기 전부터 유튜브 동영상에서 개발 지식을 습득했습니다. 흥미로운 것이 있으면 직접 따라 해보고, 더 심화적으로 궁금한 내용은 chatGPT에게 물어봤습니다.

📱 새로운 IT 소식:

📱 개발 기초 지식:

🌐 IT 뉴스

  • GeekNews
  • 기타, 본인이 사용하는 테크 스택의 공식 블로그

5.3. 개발 전반 자료

아래 책들은 예전에 읽었던 책이 대다수였지만, 면접 준비하면서 새로 읽은 책도 있습니다. 예전에 읽었던 내용을 복습하면서 읽다가 이해 안 되는 내용은 chatGPT에게 물어보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백엔드 직군으로 지원했지만, 제 포트폴리오가 프론트엔드, 앱, 백엔드 모든 영역에 걸쳐져 있어서 해당 모든 영역에 대해 질문이 들어올 것을 대비했습니다.

5.4. 프론트엔드 포트폴리오 복습

5.5. 앱 포트폴리오 복습

5.6. 백엔드 자료

5.7. 데이터베이스 자료

5.8. 클라우드 컴퓨팅 자료

6. 종합 역량 인터뷰

기술 역량 인터뷰를 빡세게 준비하다 보니 기술 관련해서는 더 준비할 것이 없었습니다. 기술 역량 인터뷰 준비할 때 사용했던 자료들을 다시 보면서 면접을 준비했습니다. 아래 책들을 추가로 읽으면서 인성 질문을 준비했습니다.

7. 합격 이후

Naver Logo 으아아아 나도 이제 찐 개발자다!

스터디도 없이 혼자 공부를 진행하는 제 면접 준비 방식이 맞는 방법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결과가 좋으니까 그래도 나름대로 준비 방향을 잘 잡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위의 지식을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나, 인턴 경험이 있다면 취업 준비 시 제일 좋은 것 같습니다.

네이버 합격이 끝이 아니기에 계속 공부를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자바와 스프링부트를 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합격 후에 바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파이썬도 쓸 일이 많을지는 모르겠지만 공부해야겠습니다.

개발에 입문하기 위한 자료들은 다른 포스트에 저장해두었습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